전체 글 586

장고스터디 블로그 만들기- github 초기 세팅과 연동

Blog porject 1. 폴더 만들기 /bestblog/라는 이번 프로젝트 용 폴더를 만듭니다. 2. git init 하기 git init 3. https://github.com/bartkim0426/bestblog 라는 원격 저장소를 가져오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bartkim0426/bestblog => 해당 원격 저장소를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가져옵니다. (깃에서 관습적으로 원격 저장소를 origin 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혹은 ..

backend/django 2017.03.20

tmux-powerline: 내맘대로 tmux상태바 만들기

tmux-powerline tmux-powerline 설치 준비 공식 깃 문서에 따르면, 필요한 grep 툴을 설치하여 주어야 한다고 하여 설치했다. brew install https://raw.github.com/Homebrew/homebrew-dupes/master/grep.rb 일단 깃에서 다운 받아주고 brew tap homebrew/dupes brew install homebrew/dupes/grep 명령어로 설치를 완료 해 주어야 한다. brew가 설치가 안 되있으면 여기()서 보고 설치해 오면 된다. tmux-powerline 설치 설치는 간단하다. 아래의 예제에서는 ~/some/path/라고 나와 있는데 그냥 아무 폴더나 만들어서 거기에 아래 깃 클론 명령을 실행하면 된다. 나는 mkdir..

tools/terminal 2017.03.19

vim에서 powerline을 사용하자: vim-powerline

iterm2와 tmux를 깔아서 사용하다 보니 밑에 상태바에 대한 욕심이 나서 이것저것 찾아보던 중 'powerline'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초심자인 나에게는 꽤나 복잡해 보였지만, 그냥 도전해 보기로 하였다. (원래 실력은 없는 사람들이 도구에 집착한다고.. 코딩은 뒷전이고 세팅만 열심히이다...) 우선 파워라인을 쓰면-일반 모드, 입력 모드 등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여 까독성을 높여주고-파일명, 텍스트 형식, 인코딩, 문법 파일 타입... 등등 의 정보를 제공해주고-**예쁘고 멋있다** (특히 이런저런 유니코드 문자들이) Vundle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편리하다. https://github.com/gmarik/vundle 를 참고하여 설치하였다. (번들 설치하는 블로그 글: ) 1. powe..

tools/vim 2017.03.18

내가 보려고 쓴 tmux 사용법

맥북을 처음 접하고, 좋다고 들은 iterm2과 tmux (티먹스)를 설치했다. (사실 처음에 설치할 때에는 티먹스 티먹스 이러길래 팀웍스인줄 알고 한참을 team works mac... 이렇게 검색하다가 다시 물어 발견했다.) "tmux는 사용자가 단일 단말기 또는 원격 터미널 세션 안에서 여러 별도의 터미널 세션에 엑세스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상 콘솔을 다중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위키백과 'tmux' (https://ko.wikipedia.org/wiki/Tmux) 창 분할만 되는 줄 알고 ubuntu에서 쓰던 terminator와 다를게 뭐냐고 생각했는데, 단순히 창만을 나눠주는 기능이 아닌 기본적으로 여러 세션을 한번에 사용할 수 있는 엄청난(?) 기능을 제공해주는 것 같다. 뿐만 아니라..

tools/terminal 2017.03.18

git commit시 vi 에러: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editor 'vi'. git

git에서 commit을 할 때 커밋이 제대로 되지 않고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editor 'vi'. git 라는 빔 에디터 에러가 나왔다. 검색 해보니 vi 에디터의 버그라고 하고 git config 파일에 vi 에디터를 직접 추가하면 해결된다고 한다. (git에서는 크게 시스템, 사용자, 프로젝트별 총 3개의 config 파일이 있다고 하는데 global 옵션으로 추가하였다.)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이제 vim이 에디터로 등록되어있고, 다시 커밋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https://medium.com/@cookatrice/git-commit-amend-%EC%82%AC%EC%9A%A9%EC%8B%9C-v..

tools/git 2017.03.18

pyenv virtualenv 실행시 오류

맥에 pyenv, virtualenv를 처음 깔고 activate가 안 되는 문제에 부딪혔다. Failed to deactivate virtualenv. Perhaps pyenv-virtualenv has not been loaded into your shell properly. Please restart current shell and try again.이런 오류가 발생해서 한참을 고생하다가, 문제는 다른 곳에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bash 대신에 zsh 를 사용하여 .zshrc 파일에 eval "$(pyenv virtualenv-init -)를 추가해줬는데, 이전에 zshrc 파일에 있던 username 명령어가 잘못되어 있어서 실행이 안 되고 있었다. DEFAULT_USER=bartkim0426 ..

backend/python 2017.03.17

맥북을 처음 받고 설치 한 파일들

1. homebrew -설치 명령어 복사 =>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사용법출처- http://humble.tistory.com/26 2. iterm2http://poltman.tistory.com/entry/osx-%EB%A7%A5-%ED%84%B0%EB%AF%B8%EB%84%90-iterm2-%EB%8B%A8%EC%B6%95%ED%82%A4-설치 완료 3. git-설치 완료 4. vim-vimrc 설정 하기 5. nerd tree (vundle) 6. tmuxbrew install tmux사용법 정리http://www.haruair.com/blog..

tools/mac 2017.03.17

리눅스 명령어: 리눅스 쉘 (.sh) 실행방법

처음에 smartgit을 까는데 .sh 확장자가 나오길래, 뭐지 싶었는데 찾아보니 shell script 확장자였다. 실행하는 방법은 파일 권한을 변경 후 실행하면 된다...고 한다. 우선 파일 권한은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해준다.744 등을 주어도 되지만, 간단하게 $chmod +x filename.sh # 쓰기 권한 추가하기 로 실행이 된다. $sh filename.sh $./filename.sh 로도 실행이 된다. 추가적인 명령어는 나중에 추가하도록 하겠다.

backend/ubuntu 2017.03.16

ubuntu git gui 프로그램, smartgit 설치

깃 사용을 돕는 GUI, 설치법은 1. smartgit 홈페이지에서 직접 gz 파일을 다운받은 뒤홈페이지: http://www.syntevo.com/smartgit/- 압축을 풀어주고 $ tar -xzvf smartgit-linux-17_0_2.tar.gz -bin/ 디렉토리의 sh 파일을 실행시킨다.$sh smartgit/bin/smartgit.sh 2. 또는 sudo 명령어로 쉽게 설치할 수 있다.$sudo add-apt-repository ppa:eugenesan/ppa$sudo apt-get update$sudo apt-get install smartgit $smartgit 으로 실행하면 된다. (설치 참조: http://hanmaruj.tistory.com/12) 처음 실행하면 여러가지 환경 설..

tools/git 2017.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