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 Idea/행복 7

소요하기 7일차: 행복의 정의에 대해

오늘 현덕이가 보내준 김주환 교수님의 유튜브 영상을 봤다. 원래 “내면소통” 책은 알고 있었지만, 자기개발서 느낌이 강해서 읽고 싶지 않았던 터라 교수님 약력 보고 그냥 넘겼었다. 워낙 비슷한 책들이 많아서 또 뻔한 이야기일 거라 생각했기 때문.근데 오늘, 뭔가 우울하고 압도당하는 기분에 이것저것 시도하다 영상을 틀었는데, 생각보다 너무 좋아서 놀랐다. 교수님의 행복과 인생에 대한 이야기가 내가 평소 고민하는 것과 비슷했고, 특히 한국의 무한경쟁 사회나 타인을 의식하며 자신을 밀어붙이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메시지를 잘 전달하신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행복해지는 것과 그걸 남에게 전하는 건 다른 문제인데, 두 가지를 다 잘하시는 분 같았다.이를 보면서 드는 의문점이나 가진 다른 생각들을 좀 적어보지만, ..

Life & Idea/행복 2025.03.25

우울해도 운동을 가야하는 이유

오늘 아침은 좀 우울했다. 마음에 여유가 없고 답답한 기분이 계속 맴돌았다. 최근에는 충만하고 행복하게 지냈다고 생각했는데, 갑자기 이런 날이 오니까 살짝 당황스럽다. 지금 느끼는 행복과 마음의 ‘완충재’를 유지하는 건 다른 문제일까? 충만함과 여유로움이 꼭 같지는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여유로움은 어디서 오는 걸까? 돈에서 오는지, 내가 가진 것에서 나오는 건지,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채울 수 있는 건지 고민이 된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내 여유를 갉아먹는 건 대부분 돈과 관련된 고민들이다. 돈이 있으면 이런 문제들이 해결될 거라는 기대가 있지만, 그게 다는 아닌 것 같기도 하다. 그래도 확실한 건, 마음의 완충재를 침식하는 존재들이 없다면 삶이 훨씬 여유로울 거라는 점이다.이런 블루한 날에..

Life & Idea/행복 2025.03.24

소요하기 5일차: 불안한 뇌의 과학적 이해

오늘의 소요시간에는 뇌과학 책 (불안할 땐 뇌과학)을 읽으면서, 그것이 우리의 충만함, 행복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8609080 불안할 땐 뇌과학 | Catherine M. Pittman - 교보문고불안할 땐 뇌과학 | 왜 불안한 마음은 빈틈없는 논리와 설득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을까? 35년간의 불안장애 및 뇌 손상 환자 치료 경험에 기초해, 실행하는 즉시 불안증세를 완화하는 구체적이고product.kyobobook.co.kr(*이 책 자체를 추천하는 글은 아니다. 뇌과학의 관점 - 특히 편도체 - 관련된 정보는 좋지만, 기본적으로 불안과 스트레스에 대해서 '서양적인' 마인드가 강하다. 더 나은, 행복한 ..

Life & Idea/행복 2025.03.23

행복의 cm: 우리가 정의하는 풍요로운 삶

방황 0일차 - 소요(逍遙)의 시간: 충만한 삶을 위한 일상적 사유 - 소요 시작방황 1일차 -  당신의 마음은 얼마나 부자인가요?방황 2일차 - 마음의 풍요를 찾아서 feat. ChatGPT행복과 풍요로운 삶에 대한 사유, 소요, 방황 3일차. 2025-03-22뭔가 매일 거창한 걸 생각하고 글로 남기겠다는 생각을 버리자. 이런 생각이 굴레가 되어 쉽게 생각을 시작하지 못하는 장벽이 되지 못하게 하자. 오늘은 그저 흘러가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풀어보려 한다.맥주 한 잔에 담긴 행복어제 오랜만에 현준이, 그리고 처음 본 다른 친구들과 함께 클라이밍을 하고 술도 마셨다. 현준이와 새벽까지 맥주를 마시면서 이런저런 행복에 대한 많은 대화를 했는데, 이 때 든 재미난 생각이 있어서 한 번 적어본다.참 다양한 대..

Life & Idea/행복 2025.03.22

마음의 풍요를 찾아서 feat. ChatGPT

압도당하는 마음, 생각의 소용돌이오늘은 조금 늦게 소요하는 시간을 가진다. 뭘 생각할지, 또 뭘 적어야 할지 막막하고 머릿속이 이리저리 복잡한 기분이 든다. 가끔 이렇게 생각에 압도당할 때가 있는데, 이런 상태가 마음의 풍요로움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딱히 스트레스나 부정적인 감정을 받지는 않지만, 현재에 충만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이런 마음이 드는 이유는 뭘까? 마치 마음이 어디 한 곳에 있지 못하고 여기저기 계속 뛰어다니는 메뚜기가 된 것 같은 느낌이다. 굳이 이유를 생각해보자면 '압도당할 때'인 듯하다. 생각의 속도를 내가 따라가지 못할 때, 머릿속이 팽팽 돌아가면서 지금 내가 뭘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느낌이 들게 된다. 간결하게 표현하자면 '생각이 많을 때' 정도일까?현대..

Life & Idea/행복 2025.03.21

당신의 마음은 얼마나 부자인가요?

인류의 역설적 발전과거에 인간은 수십만 년 동안 이렇게 살아왔을 것이다. 미래를 걱정하지 않고, 과거를 돌아보지 않고. 현재 생존을 위해서만 살아간 인류는 '행복'했을까? 어쩌면 행복은 그들에게 너무 고차원적인 생각이었을지 모른다. 그렇다면 그들은 '충만'했을까? 그렇다고 생각한다. 수십만 년이 지난, 농업과 문명, 산업과 기술이 발전한 지금 인류가 하는 대부분의 고민과 걱정,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은 그때에는 없었기 때문이다.이런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인류의 발전은 참 역설적이다. 인류의 역사를 돌아보았을 때 (지난 2천 년간, 그리고 특히 지난 200년간) 엄청난 발전이 있었다. 농업혁명으로 수렵과 채집에서 벗어나고, 산업혁명으로 부를 이루었다. 전기는 밤을 정복하게 해 주었으며 디지털은 물리적인 한계..

Life & Idea/행복 2025.03.20

소요(逍遙)의 시간: 충만한 삶을 위한 일상적 사유

3월에 공유오피스를 등록하고 출근을 시작한 지 이제 2주 가까이 지났다. 첫 일주일은 정말 충만하고 행복한 삶을 보냈는데, 요 며칠 동안 일상의 충만함과 행복이 떨어지는 느낌이 들었다. 무엇이 달라졌는지 곰곰이 생각해보니 크게 두 가지가 변했다.1. 매일 하던 푸시업, 스쿼트 50회씩 하는 루틴이 끝났다.2. "소요(逍遙)"하는 시간이 사라졌다. '소요(逍遙)'란 무엇인가이 두 번째 활동을 표현할 적절한 용어가 없어서 고민했다. 한 문장으로 표현하자면 "어딘가에 앉아서 평온한 마음으로 나의 삶(과 행복, 만족)에 대해 생각하고 사유하면서 이를 적어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활동이 나의 충만한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에 이 글을 적게 되었다.이런 활동을 무엇이라 부를까 고민하다가, 고전..

Life & Idea/행복 2025.03.20